health money&policy
저잣거리report
건강 재화
보험이야기
식도락과 즐길거리
독자의 뉴스와 의견
기자의 說說說
people
    • 기획재정부, 산불대응 및 통상·AI지원 추가경정 예산안 12.2조 원
    • [추경안 주요내용 12.2.조 원]
      ①재해·재난 대응, ②통상·AI 지원, ③민생 지원 등 3대 분야 집중 투자

      ▲ 재해·재난 대응 3.2조 원
      · 신속한 산불 피해복구: 1.4조 원
      · 재해·재난 예방· 대응력 강화: 1.7조 원
      · 노후 SOC 개량 등 안전투자: 0.2조 원

      ▲ 통상 및 AI 지원 4.4조 원
      · 통상리스크 대응(관세, 공급망, 고용불안): 2.1조 원
      · AI 생태계 혁신: 1.8조 원
      · 반도체 등 첨단전략산업 경쟁력 제고: 0.5조 원

      ▲ 민생 지원 4.3조 원
      · 소상공인 경영부담 경감: 2.6조 원
      · 영세·중소 사업자 매출기반 확대: 1.6조 원
      · 취약계층 생활안정 지원: 0.2조 원

      ▲ 기타
      국채이자, 주요행사 개최 등: 0.2조 원

      ① 재해·재난 대응 → + 3.2조 원
      △ 신속한 산불 피해복구 지원
      · 피해복구: 산불 피해지역 신속 지원위해 재해·재난대책비 부족분 보강(0.9조 원)
      · 일상회복: 이재민 대상 주택복구 용도 저리 대출 신규 지원, 신축 매입임대 1천호 공급 (0.2조 원)

      △ 재해·재난 예방·대응력 강화(+ 1.7조 원)
      · 사전탐지: Al감시카메라 30대, 산불방지 드론 45대
      · 진화역량: 산림헬기 도입 + 6대, 산불진화차 확충 + 48대

      ② 통상 및 AI지원 → + 4.4조 원
      △ 통상 리스크 대응
      · 대출: 저리대금 추가 공급(+ 1.5조 원)
      · 펀드: 기업구조혁신펀드 5,000억 원
      · 보증보험 : 위기 기업 특례보증 4.5조 원,
      수출 애로기업, 중소 조선사, 방상 기업 등 5.7조 원
      · 금융지원 : 특별자금 25조 원 확충

      △ 관세대응 바우처(신설)
      관세피해 대응, 대체시장 발굴 등
      4개 분야 500여 개 신규서비스 제공 + 0.1조 원

      △ 국내 AI 생태계 혁신
      · 컴퓨팅 인프라(신설) 1.5조 원
      고성능 GPU 1만 장 확보

      · 인재 + 1,650
      석박사급 이상 인재양성 2배 확대

      · 자금 900 → 2,000억 원
      AI 혁신펀드 규모 2배 이상 확대

      △ 반도체 등 첨단전략산업 경쟁력 제고
      · 인프라(신설): 전력망 지중화 사업의 기업부담분 70% 국비지원 0.1조 원
      · 공급망(신설): 소재·부품·장비 투자보조금 0.1조 원
      · 금융지원: 반도체 설비 저리 대출프로그램
      4.3 → 7.7조 원 확대(+0.2조 원 추가출자)

      ③ 민생 지원 → + 4.3조 원
      △ 소상공인 비용부담 경감
      · 부담경감 크레딧(신설) 1.6조 원
      최대 50만 원 바우처 지원, 연매출 3억 이하 소상공인 311만 명

      · 정책자금 + 0.8조 원
      소진기금 융자, 지역신보 보증 2.5조 원 확충

      · 신용카드 0.1조 원
      소상공인 6개월 무이자 할부 신용카드 발급(1,000만 원 한도)

      △ 영세 사업자 매출기반 확충
      · 상생페이백(신설) 1.4조 원
      월 카드소비 증가액 20% 환급(최대 30만 원)

      · 취약상권 환급(신설) 0.1조 원
      디지털 온누리 상품권 사용액 10% 환급

      △ 취약계층 생활안정 지원
      · 취약근로자 0.5 → 0.6조 원
      임금체불 근로자
      국가 대지급금 지원인원 확대 10.5 → 11.5만 명

      · 금융 취약계층 12.3 → 19.3만 명
      저소득 청년·대학생, 최저신용자
      맞춤형 정책자금 + 2,100억 원 추가 공급

      이번 추경은 무엇보다 타이밍이 중요합니다.
      추경안의 조속한 통과를 위해 국회의 초당적 협조와 처리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보도자료출처: 기획재정부]
    Copyrights ⓒ 헬스앤마켓리포터스 & www.h-mone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밴드공유
최신기사

상호 : health&market reporters l 연락처 : 010-7979-2413 l e-메일 : djkangdj@hanmail.net
발행인: 강동진 l 등록번호: 서울, 다10470 l 등록 일자: 7월 13일
Copyrightⓒ 2012 Health & Market All re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