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money&policy
저잣거리report
건강 재화
보험이야기
식도락과 즐길거리
독자의 뉴스와 의견
기자의 說說說
people
    •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입식품 등 사전안전관리 제도
    • [헬스앤마켓리포터스, 강동진기자] ■ 수입식품 등 사전안전관리제도
      (Pre-Safety Management System for Imported Food, etc.)
      - 수출국 현지 제조·가공단계부터 수입식품 등의 안전관리를 위해 해외제조업소 등록, 현지실사, 수입위생평가, 수입식품 안전관리인증(HACCP) 등 제도 운영

      ■ 해외제조업소 등록
      (Registration of Foreign Food Facilities)
      - 수입 전(前)단계 안전관리를 위해 수입영업자 또는 해외제조업소 설치운영자가 수입신고 전 해외제조업소 등록

      * 수출국 식품 등 관련 법령에 따라 허가·등록·신고 등 증명 서류 제출(실제 제조·가공하는 업소명과 소재지로 신청)

      ■ 해외제조업소 현지실사
      (On-Site Inspection of Foreign Food Facilities)
      - 위해방지 및 국내외 안전정보 등 관련 사실 확인을 위해 해외제조업소 출입 및 검사

      <판정 기준> 점검표에서 'O'로 판정된 항목을 백분율로 환산
      - 적합 : 85% 이상 ▶ 현행 유지
      - 개선필요 : 70% 이상~85% 미만 ▶ 검사 강화
      - 부적합 : 70% 미만 또는 중요항목에서 'X' 1개 이상 ▶ 수입 중단

      ■ 수입위생평가
      (Import Sanitation Assessment)
      - 수출국의 위생관리 수준이 우리나라와 동등 수준 이상 여부를 평가하여 수입허용 여부 결정

      <평가절차>
      1단계: 수입국의 수입허용 → 식약처의 위생평가 설문서 송부
      2단계: 수입국의 답변서 제출 → 식약처의 답변서 검토
      3단계: 식약처의 수출국 현지조사
      4단계: 식약처의 수입허용여부 결정
      5단계: 양국 간 수입위생요건 및 증명서식 협의
      6단계: 식약처의 해외 제조시설 등록절차 진행

      수입위생평가 완료된 수출국에서 수입 가능
      축산물: 식육, 식용란, 축산물가공품
      특별위생관리식품: 어류 머리, 어류 및 연체류의 내장
      동물성 식품: 식육함유가공품, 알함유가공품, 기타 식육 및 기타 알제품

      ■ 수입식품 안전관리인증
      (Imported Food Safety Management Certification)
      - 식품의 원료관리 및 제조·가공 등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에 섞이거나 오염되는 것 방지
      * 각 공정에서 위해요소를 확인·평가·관리
      · 조사평가(연 1회)
      · 연장평가(3년)

      수입배추김치 식품안전관리인증 적용 비율(%)
      55%(22년) → 88%(23년) → 100%(24년)


      [보도자료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Copyrights ⓒ 헬스앤마켓리포터스 & www.h-mone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밴드공유
최신기사

상호 : health&market reporters l 연락처 : 010-7979-2413 l e-메일 : djkangdj@hanmail.net
발행인: 강동진 l 등록번호: 서울, 다10470 l 등록 일자: 7월 13일
Copyrightⓒ 2012 Health & Market All re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