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파산에 직면해있는데, 높은 자리를 꿰차고, 지금도 열심히 채굴하는 이가 있을 것이다. 진보는 가난해야한다는 말도 아니고, 공무원이 월급을 올려달라는 주장을 해서는 안된다는 말이 아니다. 앞에서 말할때부터 국익을 위해서 자신에게 권력을 줘야한다거나, 상대측에게 권력을 줘서는 안된다는 말을 하는 것이 속을 뒤집는다는 것이다.
자산가 회장은 말했다. 나같이 부자인 노인한테, 몇십만원 돈을 줘서 뭐하겠느냐고. 더내고 더받자는 국민연금 개악을 잘했다는 사이비들이여, 자칭 진보를 거두라. 대개가 우리는 청년층은 부양을 노년층은 피부양을 받아야하는 것으로 인식이 고정되어 왔다. 국민연금도 그런 구조에서 설계된 것이다.
파산이 다가오자, 난 나라가 망가지기를 바랜다. 소비쿠폰도 안줬으면 하는 마음이 한켠에 생긴건, 더 망가지기를 바랐는지도 모른다. 나는 이렇게 힘든데, 네가 그렇게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는 것 자체가 싫었기 떄문이다. 명문학벌을 획득하는것에 실패하는 사람들이 영재로 소개된 사람들이 망가지기를 간절히 비는 이유도 똑같을 것이다. 정말 미쳐버릴 것 같다. 비문증같이 파산이 눈앞에 어른거리는게 지긋지긋하다. 정부가 추가대출을 해주지 않는 이상은 국가는 잘되기를 바라지 않는 사람은 부지기수일 것이다.
세월의 흔적이 몸과 마음에 켜켜히 주름이 되고. 관절과 정신은 퇴행이라는 병을 앓는다. 앞냇가에서 물장구를 치는 동네 아이들, 빨랫터에 아낙네들, 그리고 늘 항상 내편이었던 젊은 부모님. 아 다시못올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갈 순 없을까. 시간을 관장하는 신이 있다면, 난 영혼을 팔아서라도 시간을 되돌려달라 부탁하고 싶다. 그러나 시간은 비가역적이라고 한다. 아니다.
결국은 경제를 구조적으로 바꿔야한다. 그런데, 사법개혁이니, 검찰개혁은 서두르는데, 연금 등의 구조개혁, 부동산 공화국 파괴 등 경제개혁은 서두르지 않는 이유가 뭘까. 필자는 젊은 시절 한겨례 신문을 탐닉했다. 그런데 이상한게 정치사회적으로는 매우 진보적인 것 같은데, 경제문제에 있어선 다른 여느 신문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진보적 식견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없었다.
나의 운도 여기까지인가 보다. 나와 기업이 파산하기 전에 부동산 대폭락이 와야하는데, 끝내 부동산 대폭락을 못보고 고꾸러지는 상황이다. 성공했다는 대기업을 다녀도, 서울에서 아파트를 장만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은 보수와 진보를 떠나 기득권의 문제다고 생각한다. 특히 국민연금 개악을 보면, 사이비 진보들은 자신들이 왜 20대 젊은이들로부터 멀어져가고 있는지 모르는 것 같고 보수와 진보를 떠나 기성세대의 문제라고 보여진다.
이건 논리가 아니다. 생각없이 지껄이는 자칭 우파인사들을 어떻게 좀 해볼 수 없나. 음주단속을 하지말고 음주후 사고를 내면 사형등 강력 처벌하라하지않나, 도박도 자신의 책임인데, 국가가 나서서 처벌하는 것도 다시생각해야한다고 하질 않나. 부동산에 관련 다주택자를 시장경제에서 죄악시해선 안된다는 말까지 하는 이도 있다. 파산이 눈앞에 다가오자 기왕이면 부동산 공화국이 무너지는 꼴을 먼저 보고싶은데, 자꾸 이런 궤변을 늘어놓은 이를 보면 치가 떨린다.
미쳐버릴 것 같다. 고리대금을 안빌려쓸 수 없다. 그럴수록 파산은 다가오는데. 불법 사채를 단속하려면, 정부가 그만큼 대출을 늘려줘야 하는 것 아닌가 답답할 뿐이다. 말만 고리사채 단속한다고, 우리같은 사람이 사채를 안쓸 수가 없는 상황을 모른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핵심은 1보다 큰 지수의 두 정수의 산술평균은 같은 차수의 정수가 도리 수 없기에 성립한다고 할 수 있다. 이유는 차수가 1보다 큰 차수의 수들의 수열은 커져가며 비대칭적으로 수의 간격이 커져가기 때문이다.
나와 기업들이 파산하기 전에 부동산 대폭락이 와야 한다. 높은 부동산 가격때문에 금리를 내리지 못한다면, 기업들이 먼저 파산을 맞이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파산이 다가서자 지대추구경제가 눈에 보이게 된다. 파괴해야 한다. 그러나 사이비 진보들은 표심때문에 부동산 보유세는 복원하지 않는데, 주식양도세 부과기준인 대주주의 기준을 10억으로 하겠다가 역풍을 맞는다. 10억이면 서울 평균집값에 미치치지 못한다는 아우성까지 일고 있다.
나의 파산이 오는것보다 먼저 부동산이 대폭락하고 사이비진보나 보수가 무너져가면 좋겠다. 그러나 내가 그런지 사회가 그런지 모르지만, 지금 우리 사회는 분노와 우울에서 온 망상이 거의 집어삼키었다고 본다. 사이비 진보들은 20대 젊은이들의 우경화에 무지하다고 오히려 나무라지만, 80년대 운동권학생들을 당시 기성세대들이 공부는 안하고 맨날 데모만 한다고 본 것과 정말 다를까 생각해보아야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