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money&policy
저잣거리report
건강 재화
보험이야기
식도락과 즐길거리
독자의 뉴스와 의견
기자의 說說說
people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로음료 속 단맛의 정체
    • 설탕을 대신하는 감미료

    • [헬스앤마켓리포터스, 강동진기자] 감미료란 무엇인가요?
      제로 음료, 제로 아이스크림, 제로 과자까지 어느 순간, 설탕 대신 '감미료'가 들어간 제로 식품들이 대세로 떠올랐는데요.

      감미료는 단맛을 주는 식품첨가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아스파탐,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사카린나트륨, 말티톨 등 22종의 감미료가 허용되어 있어요.

      감미료가 왜 필요할까요?
      설탕을 과하게 섭취하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는데요.

      설탕 섭취를 줄이기 위해 감미료를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미료별 설탕 대비 감미도'
      · 사카린나트륨: 약 300배.
      · 수크랄로스: 약 600배.
      · 아세설팜칼륨: 약 200배.
      · 아스파탐: 약 200배.

      감미료는 종류에 따라 설탕 대비 수백 배의 감미도를 지니고 있어, 아주 작은 양을 사용하여도 단맛을 나게 할 수 있어요.

      감미료가 들어간 식품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식품첨가물의 종류와 용도를 표시하고 있으며, 식품을 구매할 때, 제품 포장의 표시사항에서 사용된 감미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식품유형: 탄산음료
      - 원재료명: 정제수, 이산화탄소, 아스파탐(감미료, 페닐알라닌 함유) 아세설팜칼륨(감미료)…

      감미료, 얼마나 섭취하고 있나요?
      우리나라 국민의 감미료 섭취량은 매우 안전한 수준입니다.

      '1일섭취허용량(ADI) 대비 섭취 수준'
      사카린나트륨 1.41%, 수크랄로스 0.18%, 아세설팜칼륨 0.30%, 아스파탐 0.12%, 스테비올배당체·효소처리스테비아 0.29%.
      * 출처: 식품첨가물의 기준·규격 재평가, '19년.

      ※ 1일섭취허용량(ADI, Acceptable Daily Intake, mg/kg bw/day.)
      사람이 일생동안 매일 먹더라도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체중 1kg당 1일 섭취량(mg).

      어린이가 섭취하는 감미료도 안전한가요?
      어린이들(1~18세)이 선호하는 식품을 대상으로 감미료 섭취 수준을 조사한 결과, ADI 대비 최대 4%로 안전한 수준이에요.

      감미료 섭취 시 주의사항이 있나요?
      · 2023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비설탕 감미료를 체중 조절 등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한 바 있습니다.

      · 아스파탐 섭취 시,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섭취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 페닐알라닌 분해효소 결핍으로 페닐알라닌이 축적되는 유전 대사 질환.

      · 말티톨 등 당알코올의 경우에는 과다 섭취 시에 복통, 설사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식품첨가물에 대해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보포털 식품안전나라에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보도자료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Copyrights ⓒ 헬스앤마켓리포터스 & www.h-money.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밴드공유
최신기사

상호 : health&market reporters l 연락처 : 010-7979-2413 l e-메일 : djkangdj@hanmail.net
발행인: 강동진 l 등록번호: 서울, 다10470 l 등록 일자: 7월 13일
Copyrightⓒ 2012 Health & Market All re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