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병원장 한창훈) 소화기내과 박찬수·박병규 교수팀이 전이성 췌장암 환자의 일차 항암치료 효과를 분석한 연구 논문을 종양학 관련 저명한 국제학술지 Cancers 최근호에 게재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와 국립암센터의 국가암등록자료 를 결합한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이성 췌장암 치료의 실제 임상 결과(real-world data)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대규모 인구기반 자료를 통해 항암치료 효과를 평가하여, 임상시험에서 입증된 항암요법이 실제 의료 환경에서도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한 것에 중요한 의의를 두고 있다.
기존 국민건강보험의 청구자료는 암환자의 진단, 치료, 생존 기간 등 주요 정보를 포함하지만 암의 병기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암 병기 정보는 국립암센터의 국가암등록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연구팀은 2021년부터 가능해진 보건의료 빅데이터 결합을 통해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와 국립암센터의 국가암등록자료를 연계하여 국내 전이성 췌장암 환자를 정확하게 선별하고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
연구 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립암센터의 심의 후 각 환자의 정보를 가명처리하고 결합키를 생성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안전하게 결합했으며, 여러 차례의 심사를 거쳐 2023년 3월 연구팀에 제공되었다.
연구팀은 2012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전이성 췌장암으로 진단받은 21,899명의 환자 중 항암치료를 받은 8,652명을 대상으로 항암요법별 생존 기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젬시타빈±에로티닙(gemcitabine±erlotinib)치료의 중앙생존기간이 6개월이었던 반면, 젬시타빈+납파클리탁셀(gemcitabine+nab-paclitaxel)은 10개월, 폴피리녹스(FOLFIRINOX)는 11개월로 나타나 중앙생존기간이 더 길었다고 밝혔다.
특히, 젬시타빈+납파클리탁셀(gemcitabine+nab-paclitaxel)과 폴피리녹스(FOLFIRINOX) 치료를 받은 환자 각각 1,134명을 성향점수 매칭을 통해 비교한 결과, 두 항암요법의 중앙 생존기간이 동일하게 11개월로 나타나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기간별로 살펴보면 2012–2013년 전이성 췌장암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이 6개월이었던 반면, 2018–2019년에는 10개월로 향상되었다. 이는 2016년 이후 젬시타빈+납파클리탁셀(gemcitabine+nab-paclitaxel)과 폴피리녹스(FOLFIRINOX)가 건강보험 적용을 받아 사용이 증가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는 전이성 췌장암에서 일차적으로 권고되는 항암제인 젬시타빈+납파클리탁셀(gemcitabine+nab-paclitaxel)과 폴피리녹스(FOLFIRINOX)의 효과를 비교한 최대 규모의 연구로, 임상연구로 입증된 항암치료 효과가 실제 의료 환경에서도 유효함을 확인한 것에 의의를 지닌다.
교신저자인 박병규 교수는 “이전에 발표한 연구에서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만으로는 췌장암 병기 정보를 얻기 어려워 동일한 병기에서 항암치료 효과를 비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결합해 전이성 췌장암 환자만을 선별함으로써 보다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전이성 췌장암 환자들에게 실제적 자료를 제공하고, 의료진에게는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박병규 교수팀은 췌장암에 대한 빅데이터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 1편, 2023년 2편의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게재한 데 이어 이번에 네 번째 연구 논문을 발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은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전이성 췌장암을 포함한 다양한 암 환자들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보도자료 출처 : 일산병원)